전체 글18 Smith Chart 쓰는 이유 및 Impedance Matching reflection coefficient는 기본적으로 1보다 작음 이로부터 ZL이 얼만지 바로 읽을 수 있게 하는 polar plot으로 표현할 수 있음 Z0와 ZL의 상관관계에 따라 어디에 떨어지는 지 알 수 있음 S-parameter는 reflection과 gain을 파악할때 사용함 제곱했을때 파워의 의미를 갖게됨 실제로 측정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기 때문에 S-parameter을 사용 저번에 말했던것처럼 power domain으로 쓴다 했으니 dB를 사용함. log scale인거죠. gain을 곱하려니 대가리가 아프니 dB스케일을 쓰면 더하기만하면 되니 암산이 쉽당. 파워 입장에서 dB스케일에서 사용하려니 1mW를 기준으로 normalize하면 이것이 0dBm=1mW이다. 임피던스 변환을 해서 ref.. 2024. 3. 7. RF회로에서 전송선로 (Transmission Line) 전송선로 2D로 새기는거 주로 쓰는게 microstrip, strip line 전송선의 특성 signal line and gnd가 전기장과 자기장이 직각을 이룬다. TEM모드를 전송할수 있는 케이블을 사용한다고 알 수 있다. 전자기파가 전송되는 거다. 직각일 때를 전송하는 것이 손실이 적다. 마치 광을 전송하기 위해 광케이블을 사용하여 손실을 줄이는 것과 같음. 에너지 전송 및 passive 요소로 사용될 수 있음. 전송선의 특성 임피던스 메탈의 폭, GND와의 간격을 변경하면 임피던스가 바뀌는거 50옴을 갖도록 디자인 되어있음. 대전류 케이블, TV케이블은 70옴으로 디자인. 왜 50옴? 손실을 줄이고 에너지를 많이 보내기 위해서,, 파워가 너무 커지면 양단 전압이 높아져서 사이에 breakdown 발.. 2024. 3. 5. LNA 설계 요소 및 관련 용어 정리 10GHz 이상의 높은 주파수 에서는 RF 파장이 짧아 지기 때문에 손실이 크다 근데 마이크로파에서 보통 신호가 작고 잡음에 약하다. 수신기의 감도는 잡음에서 수신하려는 신호를 분리해내는 정도인 Noise Figure이며 이는 낮을 수록 감도가 좋다. 이를 해결해주는 것이 바로 LNA이다. Low Noise Amplifer로 그야말로 잡음은 줄이고 전체적인 신호는 높이는 수신단 Amp이다. 송신단 Amp는 다음에 포스팅 하도록 하겠다. LNA에서 중요한 설계 요소는 정합회로와 특성파라미터이다. 임피던스를 부정합은 협대역을 만든다. LNA는 협대역 or 광대역 최대이득 or 최대 전력 선형전력 or 최소잡음 지수 로 나눌 수 있다. Parametric Amplifier는 저잡음 특성을 갖는다. 이 는 발진.. 2024. 2. 28. 공대 논문 검색, 무료 다운로드, 읽는 법 이번에 셀라(반도체) 동아리의 논문 스터디를 진행하면서 논문 읽는 방법을 단계 별로 정리해 볼 계획입니다. 먼저 내가 어떤 분야에 관심이 있는지 확인해보기 위해 그 분야의 전반적인 설명이 들어가는 저널 형식의 논문을 읽는 것이 좋습니다. 오늘은 그 논문을 찾는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응애 대학(원)생의 논문 읽는 법 (초급 편) 시작합니다. 1. 교내 wifi 사용 시 "구글 스칼라"로 대부분의 논문 열람가능하다. 와이파이 확인 후 구글 스칼라를 들어간다. 가장 쉽게 논문 검색이 가능한 사이트이다. 또는 IEEE xplore를 들어간다. 이 사이트는 매우 저명한 논문 기재사이트이다. (본 포스팅에서 IEEE xplore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2. 논문 검색 그냥 네이버에 검색하듯 검색하고.. 2024. 1. 9. 포토, 식각 후(PR 제거 후) 패턴이 사라지는 이유 포토 공정, 식각 공정을 마친후 PR strip을 했는데 패턴이 사라진 이유(패턴이 안보이는 이유)에 대해서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포토 공정에서 HMDS를 입히고 PR을 도포하고 soft bake, 노광, hard bake, developing까지 마친후 Inspection하면 패턴이 보였을 겁니다. 하지만 식각공정을 하고 PR까지 제거 하였는데 갑자기 Inspection때 보였던 패턴이 사라졌다면 어떤 이유에서 보이지 않고 웨이퍼가 깨끗해 졌는지 생각해 보도록 합시다. 이유는 몇가지가 있는데 하나씩 살펴보죠. 1. 불충분한 노광 시간 (Insufficient exposure time) 가장 유력한 원인이죠. PR에 UV를 비추는 시간이 짧으면 PR구조가 안쪽(SiO2) 바로위 까지 파괴가 안되고 패.. 2023. 4. 15. [포토 공정] 반도체 미세화 방법과 한계 (파장별 공정크기, EUV, 등) 반도체의 영원한 목표, 미세화 Scailing down 입니다. 미세화란, 패턴의 해상도로 볼 수 있습니다. 왜 미세화가 어려운지 자세히 한번 알아 봅시다. 마지막에 정리까지 해드릴태니 한번 꼭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렌즈의 직경 이론적으로는 노광에 사용하는 빛의 파장에 비례하고 렌즈의 직경에 반비례합니다. 그렇다고 렌즈의 크기를 무작적 줄일수도 없는게 DOF depth of focus 초점거리가 클수록 포토공정의 안정성이 커지기 때문입니다. 왜냐하면 렌즈의 직경이 작으면 빛이 잘 안모이기 때문입니다. 즉, 렌즈의 직경은 정해져 버립니다. 더이상 미세화에 관여하기 어려워진것이죠. 또한 장비 특성상 렌즈를 바꾸기도 쉽지 않아 더욱이 렌즈와 관련된 parameter은 바꾸기 힘듭니다. 노광 파장 따라서 여태까.. 2023. 4. 14. 이전 1 2 3 다음